728x90
1. get 요청(select)
주소에 담아서 데이터를 보낸다. 주소창에 입력하여 들어가는 건 전부 get 요청이라 보면 된다. 우리가 주소창에 입력해서 무언가 데이터를 변경한 경험이 있나 생각해보자.
2. post, put, delete 요청
데이터를 변경할 요청인 경우.
담아 보내야할 것이 많다. ex) 유저 정보라면 - 이름, 나이, 성별 등등..
자바스크립트로 ajax 요청, 데이터는 json으로 통일
*스프링에선 form: form 태그라는 것이 있다.
3. 스프링 컨트롤러의 파싱 전략
key = value 데이터가 자동으로 변수에 담김
오브젝트로 날아올수도 있음. 이때는 반드시 Setter가 필요하다.
'Dev >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Boot - 용어 정리 (0) | 2023.01.23 |
---|---|
Spring Boot - bean을 찾을 수 없는 오류 (0) | 2023.01.21 |
IntelliJ에서 자동 빌드 세팅 (Hot Reload) (0) | 2023.01.13 |
Spring Boot - Bean 을 찾지 못하는 에러(Consider defining a bean of type) (0) | 2023.01.13 |
Spring Boot - 연관관계 (0) | 2023.01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