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가상 메모리
- 가상 메모리는 사용자와 논리적 주소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사용자가 메인 메모리 용량을 초과한 프로세스에 주소를 지정해서 메모리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.
요구 페이징
- 페이징 (paging)
- 프로세스의 논리 주소 공간을 페이지라는 일정 단위로 자르고, 메모리의 물리 주소 공간을 프레임이라는 페이지와 동일한 일정한 단위로 자른 뒤 페이지를 프레임에 할당하는 가상 메모리 기법
- 요구 페이징은 가상 메모리에서 많이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방법이다. 스와핑을 사용하는 페이징 시스템과 비슷하다.
-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일부만 메인 메모리에 적재하되, 순차적으로 작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모듈을 처리할 때 다른 부분은 실행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이용한다.
'CS 학습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elnet vs SSH (0) | 2024.08.08 |
---|---|
OSI 7계층과 TCP/IP 방식 , Echo Server란 (0) | 2024.08.07 |
HTTP 요청 방식과 파일과 디렉터리, SQL, DataBase / js의 파일생성, 수정 방식 (0) | 2024.08.05 |
git의 내부 동작 방식 (0) | 2024.07.31 |
비동기 문법과 병렬처리, Node.js의 병렬처리 방식에 대해 (0) | 2024.07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