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 부트에서는 구글과 페이스북 로그인을 도와주는 하위 프레임워크가 있을 정도. 그러나 우리나라에선 카카오 로그인이 더 대표적입니다.
먼저 우리가 자체적으로 만들어놓으면
유저(클라이언트) <--------------> 우리의 서비스(서버) <-------------------> 데이터베이스
로그인 요청
이렇게 로그인 요청이 들어오면 데이터 베이스에 맞는 정보가 있는 지 확인하고 세션을 만듭니다. 그러나 카카오 로그인 api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관계는 이렇게 바뀝니다.
유저(리소스 오더) <--------------> 우리의 서비스(클라이언트) <---------- -> 카카오 API 서버 <-----------> 카카오 자원 서버
그렇다면 유저가 로그인시 이렇게 보일 겁니다.
여기서 사용자는 일반 로그인과 카카오 로그인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될것이고
일반 로그인을 선택하면 이전에 만든 스프링 시큐리티로 로그인할 것이고 저 깨진 걸 누르면 카카오 로그인이 될겁니다.
이제 코드를 짜보겠습니다.
사전 설정은 되어있다고 가정 하겠습니다.
GET 에 있는 링크에 내 애플리케이션에 있는 정보들을 그대로 넣어주면 됩니다.
그럼 이렇게 자주 봤던 로그인창이 생깁니다. 이후 로그인을 하면 우리가 설정해준 리디렉션 링크로 이동됩니다. 이걸로 로그인이 끝이냐? 그건 아닙니다. 우린 1단계를 했을 뿐이고 이제 이 인증 코드로 카카오 로그인 토큰을 받아와야합니다. 로그인 토큰이 있어야 진짜 사용자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'Dev >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에서 MySql 실행법 (0) | 2023.07.30 |
---|---|
Spring Security - configure, WebSecurityConfigurerAdapter를 사용하여 권한 체크 (0) | 2023.07.23 |
Spring Boot - 로그인 정보 변경, 세션 변경 (0) | 2023.02.20 |
Spring Boot - 스프링 시큐리티의 로그인 로직 (0) | 2023.02.20 |
리눅스 - 자주 쓰는 명령어 (0) | 2023.02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