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금융IT

[금융IT] 네트워크 통신 (FEP, MCI, EAI)

728x90

FEP

Front-End Processor의 약자로 주로 내부시스템과 대외계를 연결해주는 전처리 서버이다. 대외계란 우리 금융사가 아닌 금융감독원, 금융결제원, 타 금융사 등을 이야기한다.

  • FEP는 대외계의 전문을 받아 내부 포맷에 맞게 만들어 전송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.

MCI

Multi Channel Integration, MCI는 인터넷뱅킹, 모바일뱅킹, 텔레뱅킹 등 고객 접점 채널의 인터페이스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

EAI

역할 설명

연계 API 서버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어떤 시스템으로 가야 하는지 라우팅
데이터 변환 각 시스템마다 요청/응답 포맷이 다르기 때문에 포맷 통일
트랜잭션 관리 여러 시스템이 동시에 처리되는 요청일 경우 전체 처리 보장
로깅/모니터링 어떤 시스템에 요청이 갔고 응답이 어떻게 왔는지 추적 가능
비동기 처리 일부 요청은 큐에 넣고 나중에 처리할 수 있게 함 (예: 대용량 배치)

Ex) 콜센터 연동

  • 콜센터 UI → MCI 요청
  • 상담원이 콜센터 화면에서 “보험계약정보 조회” 버튼을 클릭하면, 해당 요청이 MCI로 전송
  • MCI → 인증 및 요청 포맷 변환
  • MCI가 상담원(채널)의 인증·인가를 검증하고, 콜센터 UI에서 온 요청을 내부 연동용 포맷(JSON/XML)으로 변환
  • MCI → EAI 호출
  • 변환된 조회 요청을 EAI(시스템 연계 미들웨어)로 전달
  • EAI → 기간계 시스템 호출
  • EAI는 내부 트랜잭션 관리, 데이터 포맷 변환 등을 거쳐 기간계(계약관리) 시스템의 조회 API를 호출
  • 기간계 시스템 → EAI 응답
  • 계약관리 시스템이 조회된 보험계약정보를 EAI에 반환
  • EAI → MCI로 데이터 전달
  • EAI가 받은 데이터를 다시 한 번 콜센터 UI에 맞는 포맷으로 가공하여 MCI로 보냄
  • MCI → 콜센터 UI 응답
  • MCI가 최종적으로 콜센터 UI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(예: JSON 구조 또는 화면용 데이터) 응답을 변환해 전달
  • 콜센터 UI → 상담원 화면 표시
  • 콜센터 화면에 조회된 보험계약정보가 표시

Ex) FEP 송수신

 

'금융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금융IT] 미수금, 미수수익, 선수금, 선수수익  (0) 2025.04.28